수선화에게
수선화에게
수선화에게..울지 마라외로우니까 사람이다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갈대숲에서 가슴검은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고네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다산그림자도 외로워서 하루에 한 번씩 마을로 내려온다종소리도 외로워서 울려퍼진다..5년전 신랑과함께 화천에서 1년반 정도 살았었다.신랑이 출근하면 낮시간은홀로서기 시간이 많았었다.인적이 드물고 조용한 곳에서처음으로 외로움이란 경험을했었다.그동안 너무 밝은성격 덕분에 외로움을 느낄수가 없었다.고립된 지역에서 그리움과 외로움은 나도 모르게 성을 쌓고 있었던 것이다.외로움을 이겨내다가 결국탈이 나고 말았다.그래서 외로움을 더 잘 이해할수 있다.그때 강물도 꽃들도 햇볕도 바람도나에게 친구가 되어 주었기에요즘 난 꽃을 더 사랑하게 된것 같다...외로우니까 사람이다사람이니까 누구든 외로움을 느낄수 있다고 겪어보니 말해줄수 있는듯 싶다....#수선화에게#정호승시선집#빗소리들으며읽기에더욱좋은책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정호승이 쓰고 박항률이 그린 사랑과 위로, 그리움의 시 101편!
정호승 시인이 지난 42년간 발표한 작품 중 가장 대중적으로 사랑받은 시를 가려 엮은 시선집. 표제작인 [수선화에게]와 [미안하다] [운주사에서] [꽃 지는 저녁] [선암사] 등 시인의 대표작 101편에 ‘명상성’을 모티브로 단아하고 서정적인 여성을 화폭에 옮겨온 박항률 화백의 그림 50점이 더해졌다. 사랑의 기쁨과 이별의 한, 삶의 외로움과 깨달음이 맞물린 이 ‘시화선집’은 새봄의 향기와 깊고 고요한 서정의 세계를 동시에 선사할 것이다. 지난 2005년 출간된 시선집 너를 사랑해서 미안하다 의 개정판으로, 그후 출간된 시인의 신작 시집 포옹 밥값 여행 에 수록된 신작시 32편이 새롭게 실려 있다.
시인의 말
제1부
반달 15
첫키스에 대하여 17
기차 18
수표교 19
눈부처 21
모두 드리리 23
강물을 따라가며 울다 25
풍경 달다 27
꽃 지는 저녁 29
너에게 30
내 마음속의 마음이 33
끝끝내 34
나그네새 37
인수봉 38
그리운 사람 다시 그리워 39
비 오는 사람 41
봄눈 43
별똥별 45
사랑 47
풀잎에도 상처가 있다 49
미안하다 51
제2부
사랑 55
어떤 사랑 56
설해목 57
키스에 대한 책임 59
꽃 61
무릎 62
강물 63
물 위를 걸으며 65
나는 물고기에게 말한다 66
증명사진 67
사막여우 68
까닭 71
나의 길 73
친구에게 75
징검다리 77
새벽에 아가에게 78
선암사 낙엽들은 해우소로 간다 81
모닥불을 밟으며 83
아무도 슬프지 않도록 84
내가 사랑하는 사람 85
수선화에게 87
제3부
내 가슴에 91
봄눈이 오는 날 편지를 부친다 93
무인등대 94
갈대 95
어린 낙타 97
푸른 애인 99
어느 벽보판 앞에서 101
사랑에게 102
그네 104
창문 106
늪 109
별 110
비닐우산 111
또 기다리는 편지 114
바람의 묵비 115
겨울밤 117
운주사에서 119
사랑노래 121
가난한 사람에게 123
제4부
꽃을 보려면 127
연꽃 구경 128
부러짐에 대하여 130
가시 131
상처 132
고래를 위하여 134
참회 135
스테인드글라스 137
마음에 집이 없으면 138
막다른 골목 141
꽃과 돈 142
리기다소나무 145
돌멩이 146
벽돌 147
바닷가에 대하여 149
손에 대한 묵상 150
철길에 앉아 153
쓸쓸한 편지 155
별의 길 156
낙화 159
별들은 울지 않는다 161
제5부
꽃향기 165
나무에 쓴 시 167
나무에 대하여 169
용서의 의자 170
감자를 씻으며 171
여행 172
왼쪽에 대한 편견 173
개에게 인생을 이야기하다 174
허물 177
어머니를 위한 자장가 179
아버지의 나이 180
초상화로 내걸린 법정스님 181
지하철을 탄 비구니 182
귀뚜라미에게 받은 짧은 편지 185
후회 187
첫눈 오는 날 만나자 188
그리운 부석사 191
새벽기도 193
당신에게 195
해설_부드러운 영혼과 사랑의 자세 · 문태준 197